역류성 식도염은 현대인들에게 아주 흔한 질병 중 하나로 중장년층뿐만 아니라 청소년기에도 흔히 나타나는 질병입니다. 평소 식생활과 생활습관,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되며 속 쓰림을 비롯한 여러 증상이 나타납니다. 식습관 개선과 관리를 통해 자연치료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합니다.
이번에 위내시경을 하고 '역류성 식도염'과 '홍반성 위염'이 있다는 진단을 받았습니다. 평소 소화기 쪽으로 불편하다는 느낌이 전혀 없었는데 두 가지 진단명을 받으니 좀 당황스럽긴 했지만 자각증상이 없을 만큼 병증이 심하기 전에 알게 된 걸 다행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. 이제라도 몸관리를 하려면 병에 대한 이해가 먼저 필요할 것 같아 먼저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과 증상,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.
역류성 식도염의 원인
역류성 식도염은 섭취한 음식물이나 위 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발생하는 식도의 염증입니다. 식도와 위를 잇는 경계 부분의 조절 기능이 약화되어 발생한다고 합니다. 평소 식생활에서 기름진 음식, 맵고 짠 음식을 많이 섭취하거나 과식을 하고, 커피 등의 카페인 음료, 탄산음료 등을 많이 마시는 것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 특히 음식을 먹고 바로 눕거나 자는 것이 제일 안 좋다고 합니다. 오늘 병원에서 듣기로는 잠들기 2시간 전에는 되도록 물도 안 마셔야 한다고 하네요. 저도 아침 빈 속에 커피를 꼭 마시고, 고기와 튀긴 음식을 좋아하고, 배가 부를 때까지 음식을 먹는 스타일입니다. 여기에 스트레스도 쉽게 받는 편이라 역류성 식도염이 생기는 원인은 충분히 갖춘 것 같습니다. 이렇게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을 살펴보니 식습관을 변화시키는 게 가장 먼저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.
역류성 식도염의 증상
역류성 식도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속 쓰림입니다. 속이 쓰리면서 가슴통증이 느껴지기도 하고, 신트림이 나기도 합니다. 또한 목에 이물질이 걸린 듯한 느낌이 자주 나거나 목 쓰림, 목소리 변화까지 생길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증상이 오래 지속되면 식도염, 편도염, 인후통이 나타날 수도 있고, 구토증상을 보이면 치아손상이 생길 수도 있다고 합니다. 그런데 저는 이러한 증상들이 없고, 소화가 안 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없었는데도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하네요. 아마 몸이 나빠지고 있는데도 모른 체 계속 같은 식습관을 유지했으면 이런 증상들이 하나 둘 나타나기 시작했을 것 같습니다.
역류성 식도염의 치료방법
증상이 심각하다면 병원 진료를 보고 약물을 사용해야 합니다. 하지만 경미한 경우에는 평소 식습관을 바꿔보는 것만으로도 호전될 수 있습니다. 또한 약을 먹는 경우에도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변화시키지 않으면 재발률이 높다고 합니다.
- 산성식품보다는 알칼리성 식품을 많이 먹는 것이 좋습니다. 산성식품은 탄수화물, 육류, 어패류, 가공식품 등이고 알칼리성 식품은 채소, 해조류, 발효식품 등입니다. 특히 감자, 바나나, 멜론, 생강, 양배추 등이 좋다고 합니다.
- 커피 대신 차를 마시고, 밀가루 음식과 기름진 음식은 되도록 먹지 않도록 합니다. 그런데 전 커피를 안 마시는 게 제일 어려울 것 같아요. 완전히 끊지는 못하겠지만 하루에 한 잔만 마시고 빈 속에는 마시지 않아야겠습니다.
- 미지근한 물을 천천히 조금씩 자주 마시고, 식사 중에는 물을 마시지 않습니다. 차가운 물은 위의 운동기능을 저하시키고 뜨거운 물은 식도를 자극할 수 있으니 미지근한 물을 마셔야겠습니다.
- 잠들기 2시간 전에는 음식과 물을 섭취하지 않습니다. 음식을 먹고 바로 눕는 것이 역류성 식도염을 가장 쉽게 유발한다고 하니 소화가 다 된 후 잠자리에 들어야겠습니다.
- 스트레스 관리를 잘 합니다.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아예 안 받을 수는 없습니다. 하지만 마음의 병이 몸의 병을 유발하는 만큼 스트레스를 잘 관리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. 자신만의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찾고, 잠을 잘 자는 것 만으로 많은 병이 낫는다고 하니 노력해야겠습니다.
어떤 병이든 그 원인을 알아야 치료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. 몸에 생기는 많은 병들의 원인과 해결방법이 비슷한 것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. 결국 좋은 음식으로 잘 먹고, 잘 자고, 운동도 하면서 긍정적으로 생활하는 게 정답인 것 같습니다. 아무쪼록 다들 몸관리 잘하셔서 건강하게 지내시길 바라겠습니다.